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간에 대한 이해 | Front14

지식과 습득 공부란 ‘학’과 ‘습’이 한데 모여 이뤄지는 것이다. ‘학습(學習)’이라는 한자어에서 익힌다는 뜻의 ‘습’이라는 글자는 새가 두 개의 날개로 날아가는 모양이다. 아기 새는 어미 새가 날갯짓하는 모습을 보고 날개를 파닥거리면 날 수 있다는 사실을 안다. 그러나 실제로 아기 새가 날갯짓을 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날개를 파닥거려야 한다. 어미 새가 아무리 우아하게 비행하는 법을 가르쳐줘도 직접 파닥거리지 않고서는 영원히 날 수 없다. 시골의사 박경철의 청소년을 위한 자기혁명 | 박경철 2020. 6. 1.
자기 관리와 목표 관리 진정한 자기 관리를 동반하는 목표 관리를 실현하는 곳은 극히 적다. 자기 관리를 통한 목표 관리는 슬로건이나 방침에서 끝나서는 안 된다. 원칙이 되어야 한다. 철학이라는 말은 과장된 느낌을 주어 되도록 쓰고 싶지 않지만 자기 관리를 통한 목표 관리의 경우, 그야말로 매니지먼트의 철학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 매니지먼트 | 피터 드러커 2020. 5. 27.
왜 '자기' 경영인가? 한 도둑이 있었다. 어느 밤, 도둑질을 하던 사내는 발각됐다. 잡히면 죽음에 처해질 것이기에 도둑은 어두운 숲을 정신없이 헤맸다. 동틀 무렵 낯선 마을 입구에 주저앉아 숨을 돌린 남자는 나체가 돼다시피 한 상태였다. 이른 아침부터 소젖을 짜러 나온 소녀는 산발에 반나체로 앉은 남자를 봤다. 그리고 알아챘다. 그가 밀림에서 고행을 마치고 나온 성자라고. 그래서 존경의 마음을 담아 방금 짠 우유를 성자에게 바쳤다. 소식을 들은 마을 사람들이 성자를 보기 위해 모여들었다. 남자의 발에 이마를 대고 축복을 했으며 돈과 음식을 바쳤다. 도둑은 당황했다. 그래서 눈을 감고 미동도 않았다. 더욱 자세를 바로 하며 돈과 음식을 거들떠보지도 않았다. 사람들은 더욱 훌륭한 성자를 우러렀다. 도둑이었던 남자는 정체가 탄로 .. 2019. 12. 7.
왜 잘하는 것을 해야하는가?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에게 묻는다. "나는 이걸 좋아하니까 이걸 직업으로 해야 하지 않을까?" "나는 이걸 잘 하는것 같아. 이쪽으로 나아가 볼까?" 좋아하는 일과 잘하는 일 중에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 당신 인생의 목적은 무엇인가? 다양한 답변이 있겠지만, 대부분의 목표는 "행복"이다. 행복은 어떻게 발견하는가? 행복은 만족에 의해서 발견되고, 만족은 기대와 현실 사이의 충족에서 걷어 올려진다. 기대와 현실의 간극을 연결하는 방법은 항상 행동에 있다. 자신에게 올바른 행동을 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2가지는 1. 무엇이 올바른 것인지에 대한 자각과 2. 그것을 지속할만한 이유, 즉 동기이다. 여기서는 2번, 지속할만한 동기에 초점을 두자.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 둘 중에 어떤 것이 지속적으로 할만한 이.. 2019. 7. 14.
반응형